무더위 속 냉방병 주의… 면역력을 높이는 등 예방이 중요
본문
(AI 생성이미지/TheSEN)
폭염이 이어지며 에어컨 사용이 늘고 있다. 하지만 실내외 온도 차와 환기 부족 등으로 발생하는 ‘냉방병’은 여름철 건강을 위협하는 복병이다. 감기와 유사한 증상인 두통, 콧물, 피로감,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 생리통이나 생리불순도 유발할 수 있다.
냉방병은 현대병처럼 여겨지지만, 사실 그 뿌리는 꽤 오래됐다. 조선 시대의 의서 《동의보감》에서는 냉방병을 ‘서풍(暑風)’ 또는 ‘중서(中暑)’라 하여 여름철 찬 곳에서 더위를 피하다가 지나치게 냉기에 노출되면 기(氣)의 흐름이 막혀 병이 생긴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기순환 장애, 면역력 저하와 같은 개념과도 일맥상통한다. 당시에도 서늘한 지하방이나 계곡물에 오래 노출된 후 두통이나 복통, 한기 증상이 생긴 사례가 있었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따뜻한 약재와 기운을 돋우는 한약을 사용했다.
즉, 냉방병은 단순히 에어컨 바람 때문만이 아니라, 몸 상태가 허약하거나 기운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더 쉽게 발병한다는 고전의 지혜는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박유환 내과전문의는 예방을 위해 "최근 평균 35℃에 달하는 기온에서는 실내 온도를 25~26℃로 유지하고, 에어컨은 일정 시간마다 꺼두며, 2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해야 한다. 찬 음식은 피하고, 유자차, 생강차, 오미자차 등 따뜻한 차가 도움이 되며, 꾸준한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The SEN 이정원 기자. leesu170@thesenews.co.kr]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