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약수터 미생물 '활개', 광주시민 건강 비상 > 사회 · 건강

본문 바로가기

사회 · 건강

여름철 약수터 미생물 '활개', 광주시민 건강 비상

본문

자료사진_먹는물 공동시설 수질검사.jpg

(사진제공=광주광역시) 먹는물 공동시설 수질검사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시민들에게 산행이나 야외활동 시 약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 이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무더위와 장마로 인한 수질 변화가 심한 만큼, 안전을 위해 음용을 최대한 자제하고 손 씻기 등 간단한 용도로만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먹는물 공동시설'은 사람들에게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되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약수터, 샘터 등을 지칭한다. 

현재 광주시는 무등산 국립공원의 청풍쉼터, 산장광장, 증심사입구 약수터 3곳을 포함해 남구 대각사 약수터, 광산구 용진 약수터, 산정 약수터 등 총 6곳을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시는 '먹는물관리법'상 연 4회 검사 규정보다 강화된 연 12회(하절기 월 2회) 수질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지역 먹는물 공동시설 6곳을 대상으로 시설당 총 6회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무등산 국립공원 약수터 3곳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청풍쉼터는 6, 산장광장은 2, 증심사입구는 1회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주요 원인은 총대장균군 및 분원성대장균군 검출이었다. 

 


정현철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먹는물 공동시설은 소독제를 사용하지 않아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다"며, "안전한 야외 활동을 위해서는 끓인 물이나 시판 생수를 휴대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강조했다. 


[TheSEN 박소리 기자 psr75@thesenews.co.kr]

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