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 삼계탕, 왜 여름철 보양식 일까 > 사회 · 건강

본문 바로가기

사회 · 건강

복날 삼계탕, 왜 여름철 보양식 일까

본문

ChatGPT Image 2025년 7월 15일 오후 11_23_31.png

AI 이미지=The SEN 생성

 

 

복날이 다가오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음식이 있다. 바로 삼계탕이다. 뜨거운 날씨에 뜨거운 음식을 먹는 풍습은 얼핏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여기에 담긴 전통과 건강학적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

 

한의학적으로 여름철은 땀과 함께 체내 수기(水氣)와 진액이 손실되고, 위장 기능과 면역력이 약화되기 쉬운 계절이다. 과도한 냉방과 찬 음식 섭취는 속을 냉하게 만들어 체력 저하를 부추기며, 이로 인해 소화불량, 만성 피로, 기침, 감염성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삼계탕은 이와 같은 여름철의 허약한 상태를 보완해주는 보양 음식으로, 떨어진 기운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삼계탕의 주요 재료인 인삼은 대표적인 보기(補氣) 약재로, 기운을 북돋고 진액을 생성하는 효능이 있다. 닭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소화가 쉬워 체력이 떨어진 사람에게 적합한 육류이며, 인삼과의 궁합도 뛰어나다. 찹쌀은 위장을 보호하며 에너지 보충에 효과적이고, 대추와 마늘, 밤 등은 각각의 역할로 약재 간 조화를 이루고 피로 해소에도 기여한다. 이처럼 삼계탕은 한방적 원리에 따라 약재의 부작용을 줄이고 효능을 극대화한 음식이라 할 수 있다.

 

명가한방병원 김동석 원장은 여름철은 체력과 소화력이 동시에 떨어지기 쉬운 계절이라 몸의 기운을 보하고 속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식이 중요하다. 삼계탕은 인삼과 닭의 궁합이 한방적으로 매우 뛰어나며, 진액을 보충하고 기를 북돋는 데 효과적인 음식이다. 다만 체질이나 질환에 따라 조심해야 하므로 개인의 상태를 고려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KakaoTalk_20250716_135422467.png

명가한방병원 김동석 원장

 

여름철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음식뿐 아니라 폭염, 냉방병, 습도 등 환경적 요인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갈증이 나기 전 충분히 물을 마시고, 실내외 온도차를 최소화하며, 상하기 쉬운 음식은 바로 섭취하거나 폐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관절염이나 만성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장마철과 같은 고습 환경에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복날에 삼계탕을 먹는 전통은 단순한 관습이 아닌, 여름철 인체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생활 속의 지혜다. 자신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맞게 조절해 먹는다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한방 보양식으로서 그 가치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The SEN 이정원 기자. leesu170@thesenews.co.kr] 

 

 

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